티스토리 뷰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과거 (4)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한 부산은 여러 가지 산적한 현안을 안고 있었다.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철수, 해외동포의 귀국, 일제잔재의 청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도 전에 남과 북을 미소가 분할 점령하여 남한은 미군정의 실시로 부산에 미군이 주둔하여 군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미군정 당국의 행정체계는 일제강점기 행정체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이후 1947년 10월에는 일본식 동명을 우리말로 바꾸어 동명의 기본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부산시 남항대교

광복 이후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면서, 부산은 새로운 행정체제 속에서 민주적 법치행정의 실시를 추진하였다. 1949년 8월 15일 부제(府制)가 시제(市制)로 개칭되어 비로소 부산시가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정부 부처의 부산 이전으로 부산이 임시수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또 다른 시련을 겪었으나, 그 와중에서도 1951년 9월에는 중부, 서부, 영도, 부산진, 초량, 동래출장소 등 6개 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3년에는 대연출장소가 부산진출장소(1936년 설치)에서 분리 설치되었고, 해운대출장소도 수영출장소에서 분리되어 출장소는 8개로 늘어났다.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6개 구(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가 설치되었다.

 

부산직할시 역사

1963년 1월 1일을 기하여 정부 직할시 승격으로, 제3차 행정구역이 확장되어 동래군의 구포읍과 사상, 북면, 기장읍 송정리를 편입하여, 6구(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7 출장소(대연, 사상, 사하, 북면, 수영, 구포, 해운대), 136동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부산은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1960년 중반 부산의 인구는 광복 당시보다 무려 5배 증가한 150만 명에 시역이 373.23㎢로 확장됨으로써 대도시 특유의 기능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72년 2월에는 부산시 제3차 5개년 종합개발계획이 확정되었고, 1973년 7월 1일에 동래군이 폐지되고 기장지역은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1975년 10월 1일에 부산직할시 직할 사하출장소와 북부출장소가 설치되고,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 북면출장소가 폐지되었다. 또한 남구가 설치되었다. 1976년 4월 9일에 동래구 해운대출장소가 부산직할시 직할 해운대출장소로 승격되었다. 10월 4일에는 부산국제공항이 김해로 이전하여 김해국제공항으로 개칭되었다.

1978년 2월 15일에 제4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낙동강 삼각주의 대부분 지역인 김해군 대저읍, 가락면 북정리 외 3 개리, 명지면 중리 외 5 개리가 시역으로 편입되면서 면적은 432.32㎢ 로 늘어났다. 또한 북구가 설치되었다. 9월 30일에 부산항 제5부두인 자성대컨테이너 부두가 개장되어 부산이 동북아 항만물류도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1979년 10월 1일 부산직할시 인구가 300만 명을 돌파하여 우리나라 제2도시로서 국제적인 위상을 드높이게 되었다.

1980년 4월에 해운대구가 설치되었고, 10월에는 부산항 부두도로(충장로) 확장 및 제1도시고속도로인 번영로가 개통(1977. 5 착공)되어 부산항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과 시내교통의 교통체증을 해소하게 되었다. 1985년 7월 19일에는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노포동∼범내골)인 16.2㎞가 개통(1980. 19. 20 착공)으로, 서울에 이어 부산에도 지하철시대가 활짝 열리게 되었다.

1988년 1월 금정구가 설치되었고, 1989년 1월 1일에는 제5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과 녹산면 그리고 창원군 천가면 등이 편입되면서 면적 525.95㎢로 거대도시의 면모를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강서구가 설치되어 12개 구로 늘어났으며, 강서구 직할 천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이로써 부산은 인구 400만을 수용하는 세계적 도시로 발전하여 국제도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1991년 3월 26일 부산직할시 시의원 및 자치구 기초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시의원 51명과 기초의원 303명이 선출되었고, 6월 26일에 제1대 부산직할시의회가 개원되어, 부산은 지방자치제의 실현과 함께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만들어 가는 진정한 민주사회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부산광역시 역사

1995년 1월 1일「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었고, 제6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 5개 읍면(기장읍·장안읍·일광면·정관면·철마면)을 편입시켜 기장군에 편제하였고, 진해시 웅동2동 등 일부가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되면서 면적은 749.17㎢으로 확장되었다. 3월 1일에는 기존의 동래구를 분구하여 연제구를, 남구를 분구하여 수영구를, 북구를 분구하여 사상구를 신설하여 16개 구(군)이 되었다.

1995년 5월 23일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 총회에서 2002년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유치가 확정되었고, 9월 30일에는 부산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1998년 1월에 부산광역시청사가 62여 년의 중앙동 시대를 마감하고 연산동으로 이전 개청하여 연산동 시대의 활짝 열었다.

2000년 1월 12일 4개 시·도관할구역에 관한 법률에 의거 행정구역의 조정으로 강서구 녹산동 일부(1.03㎦)를 김해시에 편입하고, 김해시 일부(1.03㎦)를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하였다. 2001년 5월 23일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의 준공으로 국제회의도시의 서막을 열게 되었다. 2005년 12월에는 낙동강지역 사빈 지를 등록하는 등 시역을 확장하여 면적이 763.46㎦에 이르렀다.

부산은 2001년 12월 월드컵 조추첨, 2002년 9월 제14회 부산아 시경기대회 개최, 2002년 10월 세계합창올림픽 개최, 2004년 9월 ITU총회 개최, 2005년 11월 아시아태평양정상회의(APEC) 개최 등으로 컨벤션 중심도시로 부상하게 되었다. 2006년 1월 19일 부산신항 개항과 2009년 5월 20일 부산신항 2-2 컨테이너부두가 개장되면서 북컨테이너부두가 완전히 개장되어, 우리나라 컨테이너 물동량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세계 5대 항만도시로 발전하였다.

2010년 6월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회의 개최, 2011년 3월 UN기구 산하 해양기후변화 국제심포지엄 개최, 11월에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개최, 2012년 9월에는 2012 TWA 세계물회의 부산총회 개최, 2013년 10월 세계기독교협의회 올림픽인 WCC부산총회 개최, 11월 영도대교 47년 만에 도개를 복원하여 개통되었다.

2014년 5월 부산시민공원의 역사적인 개장, 제7차 아시아 안전도시연찬대회 개최, 부산항대교 개통, 8월 부산금융단지(BIFC) 준공, 10월 ITU전권회의 개최, 12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개최되어 부산의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드높여 세계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부산은 우리나라 제1의 항만·해양관광·영화·국제회의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로써 부산은 21세기 동북아의 중추도시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