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과거 (3)
부산이란 지명은 부산포에서 유래된 것으로 15세기의 전반기까지만 하더라도 부산포(富山浦)라 하였고, 15세기 후반에 이르러 지금 동구 좌천동에 있는 증산의 모양을 따서 부산(釜山)이라 불렀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부산포는 당시의 독립된 지방행정 단위는 아니었다. 초기에는 동래현과 그 속현이었던 동평현의 관할 아래에 있었고, 그 후에는 계속해서 동래도호부(東萊都護府)의 구역 내에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조선 태조 6년(1367) 동래에 진(鎭)이 설치되고, 병마사가 동래의 행정관인 판현사(判縣使)가 겸임하게 되었다. 한편, 동래현의 속현인 동평현(현 당감동 일대)은 고려 때는 양주의 영현이었으나 태종 5년(1405)에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고 동 왕 9년 (1409)에 다시 양주에 속하였다가, 그 후 세종 5년(1423)에는 병마사가 첨절제사로 개칭되었고, 판현사를 겸하게 되었다. 세종 10년(1428) 다시 동래현의 속현으로 현령의 행정적인 지휘 감독을 받았으며, 그 후 속현제도가 없어짐에 따라 동래현에 통합되었다. 세종 22년(1440)에는 부산포에 일본인의 내왕이 빈번하게 되자, 진을 속현인 동평현으로 옮겼다가 동래로 환진 하였고, 다시 판현사를 현령으로 바꾸었다.
그 후 명종 2년(1547)에 도호부로 승격시켜 무관을 부사로 임명하고 그 아래 판관을 두었으나, 선조 34년(1601)에 외교상의 사정을 감안 당상의 문관을 부사를 삼고 판관제도를 폐지하였다. 효종 6년(1655)에는 동래부에 독신을 설치, 숙종 16년(1690)에는 부사가 방어사를 겸임하게 되었으나, 2년 후에 방어사는 없어졌다. 영조 15년(1739)에는 부사가 동래성과 금정산성의 수성장을 겸임하여 고종 32년(1895)까지 계속되었다.
군사적으로는 고려말부터 계속되는 왜구의 창궐로 그 폐해가 심하였다. 이에 태종 7년(1407년) 부산포와 내이포 두 곳에 왜관을 두어 일본인의 내왕과 함께 교역을 허용하였으나, 왜구의 침탈이 계속되자 세종 원년(1419) 왜구의 소굴이었던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이후 왜의 국교 재개의 간청에 따라 세종 5년(1423)에는 부산포와 내이포에 다시 왜관을 두고, 동 왕 9년에는 울산 염포에도 왜관을 설치하였다. 세종 25년(1443)에「계해약조」를 맺어 무역선의 수와 세사미두의 수량을 제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삼포의 왜관은 지역을 제한하고, 임진왜란 이후에도 동래부사가 일본사신을 접견하였으며, 왜관에서만 왜인들의 거주가 허락되었다. 왜관 주위에는 복병막소를 설치하여 왜인은 물론 조선인의 출입을 통제하였고, 허가를 받은 사람만 출입이 허용되었다. 부산포에 설치된 왜관의 변천을 보면, 태종대에서 중종 5년(1510)「경오왜변」 이전까지는 부산포왜관(현 자성대 부근), 선조 36년(1603)에는 잠시 절영도왜관(현 대평동 부근 )에 있었고, 선조 40년(1607)에 두모포왜관(현 수정시장 일대), 숙종 4년(1678)부터 고종 13년(1876)까지 초량왜관(현 용두산과 복병산 일대)이 존속하다가 1876년「강화도조약」 체결 이후에는 전관거류지로 바뀌었다.
부산(동래)은 나라의 관문이었기 때문에 국방상 요충지였다. 즉 금정산성은 그 규모로 볼 때 국내 최대의 산성이며, 국방시설도 발달하여, 지금의 수영에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부산진에는 부산진영이 설치되어 있었다.
개항기
19세기 중반 이후 조선은 대내적으로 봉건사회의 위기에 직면하였고, 대외적으로는 구미열강의 제국주의 침략에 직면하였다. 1866년 프랑스함대의 강화도 침범으로 병인양요가, 1871년 미국 함대의 침략으로 신미양요가 야기되자, 조선은 척화론(斥和論)이 더욱 득세했고, 일본의 수차에 걸친 교섭요청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한 가운데 일본은 1875년 5척의 군함으로 부산항에서 무력시위를 전개한데 이어 강화도에도 운양호 사건을 도발하여 1876년 일본정부는 소위 운양호 포격사건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는 구실로 군함 7척을 거느리고 강화도에 보내어 조약체결을 강요하여 1876년 2월『강화도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은 전문 12개 조항으로 첫째, 조선은 20개월 이내에 부산항 이외에 2개 항을 개항하고 일본 상인활동의 자유요구. 둘째, 일본은 조선의 연해, 도서 암초 등의 자유로운 측량과 해도권 요구. 셋째, 일본은 조선이 지정한 항구에 영사를 파견하여 주재시키고 일본인의 범죄 행위에 대하여는 일본영사가 처리한다는 등 불평등 내용이었다. 이어서「병자수호조약부록」「조일무역장정규칙」이 강제적으로 체결되었다. 한편, 일본은 일본인 보호를 위한다는 구실로 외무성 관리를 관리관으로 파견하였고, 관리관과 동래부사 사이에 부산 일본인거류지 설정문제의 회담이 진행되어 1877년 1월 30일(양력)「釜山口租界條約」 체결로 일본인의 내왕과 통상, 토지임차권, 가옥건축권 등의 확보로 점차 부산지방을 잠식하여 침략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개항 당시 부산의 외교·통상사무는 동래부사가 관장 처리하였고, 중앙정부에서는 변찰관을 파견하여 동래부사와 협의하여 외교업무 등을 처리하였다. 그 후 전문외교, 통상사무를 위해 1883년 8월 19일에 부산에 감리를 두고, 동래부사가 겸하게 하였다. 동년 부산해관이 설치되었다. 1890년(고종 27)에는 독립된 관서로서의 감리서(監理暑)를 설치하였으나, 1895년 5월 1일 폐지되었다가 이듬해 8월 7일 재차 설치(현 봉래초등 자리)되었다. 1884년 7월 청은 초량에 영사관과 청관을 설치하여 그 관리는 동래 감리의 지시를 받은 감리서원이 간수까지 맡고 있었다. 그러나 청일전쟁의 패배는 청관 내 토지, 가옥까지도 일본영사에 의해 일본소유로 징집할 정도에 이르렀다.
한편, 1883년 영국은 부산에 영사관을 설치하였으며, 영선산 일대를 부지로 삼아, 바다 매립공사 때 그 일부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1905년 러일전쟁의 승리로 독점적인 지위를 갖게 된 일본은 동년 11월「을사보호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여 조선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내정을 실질적으로 관장하였다. 1906년 2월에 일본의 이사청 설치로 부산은 이사관이 부산의 일본영사와 동래감리와의 사이에 사무인계가 이루어졌다.
부산에 일본이사청의 설치로 영사관은 물론 감리제도가 폐지되고 일본전관거류지가 초량왜관이 있었던 용두산 일대 330,000㎡에 설치되었다. 일본정부는 대륙침략의 전초기지로 부산항 매축·토목·철도·도로공사 등에도 주력하였다. 먼저 매축 및 부두공사시설을 시작하여 오늘날 중앙동부근 바다의 매축(바다를 메움)을 1902년 7월 착공, 1905년 12월 준공되었고, 북빈일대를 1902년 7월부터 1909년 8월까지 1, 2기에 걸쳐 136,534.2㎡를 매축하였다. 이외에 초량과 부산진 앞바다 1,221,000㎡를 매축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을 강점한 일제는 1910년 9월 30일『조선총독부관제』,『조선총독부 지방관제』를 반포하여 10월 1일 이를 실시하였다. 당시 지방제도는 전국을 13도, 12부, 317군을 두고 부에는 부윤, 군에는 군수를 임명하였다. 부산이사청을 폐지하고, 부산부를 설치하여 동래부 사무를 인계하고 관할하였다. 그 후 1914년 4월 군, 면의 통합에 따라 옛 동래부의 일부와 기장군을 합하여 동래군으로 재편하여 경상남도에 속하게 하여 부산부와 구별하는 행정구역이 되었다.
한편, 부산부는 부산면·사중면·사하면 가운데 오늘날의 서구·중구·영도구지역을 관할하는 행정단위로 그 면적은 84.15㎢가 되었다. 1925년에는 진주에 있던 도청을 부산에 옮겨왔고, 1936년 제1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서면과 암남리의 편입으로 면적이 112.12㎢로 늘어났고, 부산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42년에는 제2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동래읍 전부와 사하면의 편입으로 동래·사하·수영출장소가 설치되어 면적이 241.12㎢로 늘어났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식민정책을 강압적으로 실현키 위하여 주요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였다. 먼저 전차시설은 1909년 6월 29일 부산궤도주식회사가 부산진∼동래사이에 경 편 궤도 부설권을 인가받아, 1909년 11월 부산진∼동래 남문 간 궤도공사를 준공하여 12월 2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1915년 10월 31일 부산진∼초량선이 부설되었고, 부산∼동래 간은 경 편과 전차를 겸용할 수 있게 건설되어 1915년 11월 1일에 영업을 개시하였다.
시내선은 1916년 9월에 개통·운행되었다. 1917년 12월에는 우편국∼중앙동∼광복동∼한전(현 충무동) 선이 개통되었고, 9월에는 옛 부산역전∼부산진 간을 복선화와 1925년 보수동∼도청 앞∼부용동, 1927년 10월 말에는 동래선을 온천장까지 연장, 1928년 9월에 공설운동장까지 연장·개통되었다. 한편, 1931년 10월 전차가 다닐 수 있는 궤도로 바뀌었고, 아울러 1934년 9월에는 토성동∼공설운동장까지 복선으로 개통되었다.
둘째로, 수도시설은 일본인의 급격한 인구증가와 근대공장 시설의 증가 등으로 기존 수도시설로서는 급수가 어려웠다. 따라서 1920년∼1922년과 1923년∼1925년 사이에도 수도확장공사를 실시하여, 양산시 동면 법기리와 현 금정구 청룡동에 수원지를 1933년 3월 31일 준공하였다. 하수도 시설은 하수계획에 따라 1929년∼1931년까지 용두산 주변에 공사를 시행하여 시설을 완성하였다.
셋째로, 항만시설은 1902년∼1909년까지 1기 107,669㎡, 2기에 27,541㎡의 바다를 매축하였고, 부산진 매축은 1913년∼1932년까지 1차로 부산진 앞바다 478,500㎡과 2차로 우암동에 걸친 1,039,500㎡의 바다를 매축하였다. 그리고 부산축항합자회사에서 남항일대 486,090㎡의 바다를 매축하고, 선류장, 하양장, 방파제 등의 축조가 이루어졌다. 1902 년∼1908년까지 해관공사로 41,375평을 매축하였다. 1909년에는 중앙동부근 쌍산(또는 쌍악)의 착평공사로 파낸 토석으로 30,590평의 바다를 매축하는 공사를 1912년 8월에 준공하였다. 부산축항 제1기공사를 1911년∼1919년까지 제1부두의 축조, 항내의 준설 등의 설비공사를 완공하였고, 제2기는 1927년에 완공되었다.
그 후 1935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남쪽 방파제에 상대하는 적기반도로부터 연장 286간의 북쪽 방파제를 축조하였다. 또 부산부에서는 연안설비를 위해 1928년부터 1931년에 걸쳐 북빈연안 설비공사 및 영도연안 매축공사를 시행하여 각각 11,220㎡와 13,860㎡를 매축했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산의 도시 및 항만시설은 일본의 군사적,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추진된 것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부산부청은 부산부 설치 당시부터 부산이사청사로 사용했으나 통제 정책의 강화를 위해 1936년 3월 31일에 부산부청(구 부산시청)이 준공되었다.
'고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경승지 (1) (0) | 2023.08.23 |
---|---|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과거 (4) (0) | 2023.08.22 |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과거 (2) (0) | 2023.08.21 |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과거 (1) (0) | 2023.08.21 |
강진군, 다시 보는 강진 이야기 (인물)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