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구시, 다시 보는 대구 이야기 (2)
남쪽의 경상남도 창녕군과의 경계에 있는 달창지는 유가. 현풍. 구지면과 창녕군의 성산. 대합면 등 5개 면에 걸쳐 1,091㏊의 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유가∼금동 간의 군도가 구마고속도로와 마산∼대구 간의 국도와 면내에서 연결된다. 비슬산 기슭에 있는 유가사와 소재사는 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고, 와우산성등의 사적이 많다. 금. 음. 봉. 쌍계. 초곡. 용. 상. 유곡. 도의. 가태. 한정. 본말. 양리 등 13개 리가 있다.
유가읍
달성군으로 통합되기 전 본래 현풍군이었으나 유가사의 이름을 따서 유가읍이라 한다.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동부면의 쌍계. 서개. 초곡의 3개 리와 우만면의 상리. 용리. 정촌. 가현. 운 와. 금동. 신기. 남정. 북정. 유곡. 예평. 외동. 의 12개 리와 말적면의 가태. 남통. 구례. 사북. 도의. 구 돌. 본말. 계곡. 포정. 태봉. 개백. 한정. 원산. 안현의 14개 리와 사동면의 가천리를 병합하여 달성군에 편입되어 양리. 음리. 봉리. 쌍계. 초곡. 상리. 용리. 금리. 유곡. 가태. 도의. 구 돌. 본말. 한정. 가천의 14 개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17년 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가천리를 구지면에 넘겨주었다. 군의 남단에 위치한 면으로 면적 57.7㎢에, 29,321명 (2023. 4. 현재)이고, 읍소재지는 ‘봉리’이다. 서부 일부를 제외한 면의 전역이 비슬산 남서쪽 경사면의 산릉으로 되어 있으며, 서부의 현풍천과 계천유역에 쌍계들. 용봉들. 음들. 금들. 도의들 등의 충적평야가 분포한다.
옥포읍
원래 대구부에 속하였으나, 1914년 군면폐합때 옥포읍. 법화면. 성평곡면등 3개 면이 통폐합되어 옥포읍이 되었다. 군의 중앙에 위치한 읍으로 면적 48.96㎢에, 인구 24,920(2022.10.31. 현재)이고 읍소재지는 본리리이다. 남동부는 비슬산에서 뻗어 내린 높은 산릉으로 둘러싸여 있고 대방산(193m)의 하곡에는 주영하작용의 산물로 추측되는 암괴가 매몰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기세곡천이 북북서에서 남남동의 방향으로 읍의 동부를 관류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들어 가며, 상류에 용연사가 있다. 구마고속도로와 마산∼대구 간의 국도가 읍의 북부를 가로지르며, 88 올림픽고속도로의 교차로가 본리리에 있다. 옥포읍 송촌리와 논공읍 본리리의 경계에는 달성터널이 있는데, 이것은 금계산 동남부의 산릉을 200m의 고도에서 뚫은 터널로 구마고속도로상의 유일한 터널이다. 본리. 신당. 교항. 강림. 송촌. 간경. 기세. 반송. 김흥리 등 9개 리가 있다.
현풍읍
신라시대에는 추량화현 혹은 삼량화현으로 불리다가 통일신라기에 현효로 개칭하고 화왕군에 속하였다. 고려 의종 때는 포산현으로 불리어지다가 현종 때 밀성(밀양)군에 속하는 현풍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조에는 현감을 두고 15개 면을 관할하였다가 1914년 군면 폐합 때 달성군이 신설되면서 현내면, 마산면, 서부면, 모노면이 병합되어 달성군 현풍면이 되었다.
군의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면적 24.47㎢에 인구 22,872(2023년 5월 기준)이고 읍소재지는 부리이다. 북동부 및 남서부는 구릉성 산지이고, 중앙부는 달창지에서 시작하여 서북쪽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차천이 넓은 충적평야를 형성하여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마산∼대구 간의 국도와 진주∼대구 간의 지방도가 면의 남서부에서 교차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사적으로는 상리의 현풍향교 원호루 석빙고가 있고, 대리의 십이 정여각이 있다. 상, 중, 하, 부, 성하, 원교, 자모, 오산, 지, 대, 신기리 등 11개 리가 있다.
가창면
대구군의 상수남, 상수서, 하수남 3개 면이 통폐합되어 가창면이 되었다. 군의 동부에 위치한 면으로 면적은 111.17㎢에 인구 7,895명(2021.4 현재)이고 면소재지는 용계 1,3리에 있다. 비슬산(1,084m)의 고산준령이 사방으로 둘러 동으로는 경산시 남천면, 남으로는 청도군 이서면, 각북면. 서쪽으로는 본군의 유가읍, 옥포면, 화원읍과 경계를 하고,
면 중심부에는 최정산(915m)을 두고 동서로 양대 계곡을 이루고 있으며, 대구∼청도 간 국가지원지방도 30호선과 군도 2개 노선이 있다. 가창면 삼산리와 청도군 이서면 경계에는 팔조령터널이 있으며, 정대리와 청도군 각북면 경계에는 헐티재가 있다. 용계리, 오리, 정대리, 냉천리, 행정리, 상원리, 단산리, 대일리, 주리, 옥분리, 삼산리, 우록리등 12개의 법정리가 있다.
'고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서구, 다시 보는 달서 이야기 (2) (0) | 2023.08.27 |
---|---|
달서구, 다시 보는 달서 이야기 (1) (0) | 2023.08.27 |
달성군, 다시 보는 달성 이야기 (1) (0) | 2023.08.26 |
대구시, 다시 보는 대구 이야기 과거 (0) | 2023.08.25 |
부산시, 다시 보는 부산 이야기 경승지 (5)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