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광양시, 다시 보는 광양 이야기 과거

백제시대에는 마로(馬老), 통일신라시대에는 희양(曦陽), 고려시대부터는 광양(光陽)으로 불려 왔는데 "마로"는 우두머리, "희양, 광양"은 따스하게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전남 광양시 전경

구석기시대

봉강면 석사리 서석, 옥곡면 대죽리 대치(죽치), 옥룡면 용곡리 흥룡, 죽천리 죽림, 진상면 지원리 창촌마을 유적 등 6개소에서 구석기시대 유물 확인.
이곳 유물산 포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인 찍개(사냥도구), 주먹도끼(사냥도구), 돌날(생활도구) 등 구석기 유물이 발견됨으로써 구석기시대부터 우리 고장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음.

 

▶ 전거

순천대학교 박물관
조선대학교 박물관

 

신석기시대

진월면 오사리 돈탁마을, 진정리 중산마을의 패총터에서 신석기문화를 대표하는 빗살무늬토기 편과 동물뼈, 패각(貝角)등 신석기시대 유물 확인.
우리 고장(한반도, 한민족)의 직접적인 조상인 신석기인들이 광양 고을에 살기 시작한 시기는 BC4000년경으로 추정됨.
※ 구석기인들은 네 차례의 빙하기를 겪는 동안 멸종했거나 한반도를 떠났을 가능성이 큼.

 

▶ 전거

光陽郡의 考古遺蹟
(이문영, 정진기저. 1993)
광양군의 문화유적
(순천대박물관, 1993.3)
2001년도 고교 국사교과서(上) p18, p231
※2001년도 고교 국사교과서(上) p18

 

청동기 시대

우리 고장에서는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유물인 시체를 매장하였던 지석묘가 현재 43개 군(群)에 272기(基)가 조사되었고 또한 이 시대 유물인 석관묘, 패총, 마제석촉, 돌칼, 돌끌, 돌화살촉 등 많은 유물이 발견됨.
광양읍 덕례리 회암마을 : 지석묘, 마제석촉, 패총 등
옥곡면 원월리 원적마을 : 지석묘, 석곽형석실 돌칼,
옥곡면 원월리 원적마을 : 돌끌, 돌화살촉 등
광양읍 용강리 기두/관동마을 : 지석묘, 석곽묘 등
광양읍 용강리 기두/관동마을 : 다수
광양읍 세풍리 해창 유자섬 : 무문토기, 석기 편 다수
기타 여러 곳에서 청동기시대 유적, 유물출토

 

▶ 전거

전남고고학지명표
(최몽룡 저, 1975)
문화유적학술조사보고서
(전남대 박물관, 1989)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
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요약보고서
(순천대박물관, 2000.2)
문화유적 분포지도
(순천대박물관, 2000.2)
문화유적 분포지도
(순천대박물관, 2000.2)

 

초기 철기시대

광양읍 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 조사 시 초기철기시대 유물인 철기류와 토광묘 발굴
이 시대는 주로 돌도끼, 괭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로 땅을 개간하여 곡식을 심었으며 저습지에서 벼농사가 시작됨.
또한 집터는 대부분 나지막한 야산을 뒤에 두고 앞에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 식수원인 우물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음.

 

▶ 전거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
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요약보고서 (순천대박물관, 2000.2)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3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4

 

삼한 시대

우리 고장은 마한 또는 변한 지역이거나 어느 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완충지역 일수 있음.(′83 광양 군 지) 최근년에 마한지역으로 여겨져 왔던 전북남원지역에서 가야국(변한의 다음국가)의 고분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고등학교 국사교과(상, p32, 2001년) 옛 권역도에 우리 고장이 변한 지역으로 되어있고, 변한 지역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어 변한 지역일 가능성이 많음.(BC57 신라의 건국, BC37 고구려건국, BC18 백제건국)
※ 우리 고장이 변한 지역과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는 곳
진상면 비촌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 있음
옥룡면 내천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 있음
골약동 중군리 중군현지(中軍縣址)가 변한의 성지(城址)라는 설이 있음
가야산(伽倻山)이라는 명칭의 산이 있음.

 

▶ 전거

광양 군 지 p169(1983)
가야연맹사 p165(김태식저, 2000.8)
2001년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상) p32
※ 광양 군 지 p169(1983)
전남 도지 제10권 p112 (1956)

반응형